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산초밥
- 알리익스프레스
- yml유효성
- 오산공영주차장
- 오산주차장
- 동적할당
- 타코와사비
- Java
- 바이너리코드
- 컴파일타임
- 육회초밥
- RAM
- yml파일
- aliexpress
- 1490원
- 병목현상
- 아이패드거치대
- 런타임에러
- 가비지컬렉터
- 컴파일
-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Ambiguous mapping found. Cannot map 'homeController' bean method
- 컴파일에러
- 기계어
- 바이트코드
- Please enter a commit message to explain why this merge is necessary
- git오류
- 정적할당
- 오산 회전초밥
- 형제초밥
- git pull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
개발 & 일상
동적할당 메모리 동적할당이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 필요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는 것을 말한다. 사용이 끝나면 운영체제가 사용 할 수 있도록 반납하고 다음 요구시 재 할당을 받을 수 있다. 동적으로 할당된 메모리 공간은 프로그래머가 직접 해제하거나 가비지 컬렉터에 의해 해제된다. java 에서는 new 연산자 를 할때마다 힙 영역에 할당되며 gc의 대상이 된다. 동적 할당은 프로세스의 힙영역에서 할당하므로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운영 체제에 메모리 리소스가 반납되므로 해제된다 int[] a; a = new int[5]; new 연산자 등을 사용해 프로그램 도중 필요한 양 만큼 할당하는 것 heap 메모리에 저장된다. (프로그램 종료시 garbage collector가 정리한다) 정적할당 메모리 정적할당은,..
Mysql 에 새로운 테이블을 만들어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려고 INSERT 를 실행하려고하니 에러가 발생했다.. mysql Data truncation: Incorrect string value:'\xED\x85\x8C\xEC\x8A\xA4...' for column ~~ at row 1 구글링 해보니 테이블을 생성할때 한글입력 속성을 부여 하지 않아서 나타나는 오류다.(오라클은 이런게 있었던가...??) 이미 테이블을 생성 했다면 ALTER TABLE (테이블명 여기적기) convert to charset UTF8; 이렇게 치면 된다! 한번 끄고 재시작해보자
런타임을 구글링 하면 자꾸 컴파일타임와 차이를 말하는 글들이 나온다 그래서 컴파일타임도 같이 적어보겠다.. 런타임(Run Time) 이란? 런타임(영어: runtime→실행시간)은 컴퓨터 과학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의 동작을 말한다(위키백과) 런타임(Runtime)은 '어떤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의 동작'을 가리킨다. 컴파일 과정을 마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때를 의미한다. (프로그램 실행중) 런타임에러(Run time error)란? 이미 컴파일이 완료된 상태로 프로그램이 실행중이지만 컴파일과정중에 발견하지 못한 예외상황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류 형태 실행이 되어야만 확인이 가능한 에러 (런타임에러의 예시 ) - 메모리부족이나 - Null 관련 에러 - 0으로..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high-level language x = 10 + 2 y = x + 4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low-level language (binary/machine code) 001001 11101 11101 1111111111111000 001000 00001 00000 0000000000001010 001000 00001 00001 0000000000000010 101011 11101 00001 0000000000000000 001000 00010 00001 0000000000000100 101011 11101 00010 0000000000000100 001001 11101 11101 0000000000001000 이 둘을 쉽게 정의하기 위해 생각해야 할 것이 있다. 프로그램을 실행..

강의로 배웠던걸 이제 실전에서 사용해보자..!!화이팅 Spring boot 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해준다 Entity의 CRUD가 가능성이 있는 JpaRepository는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JpaRepository 만 하면 됩니다. 이렇게 ProtoMapObjuctTestRepository 를 만들어서 선언을 해주고 뒤에는 Entity명과 형식을 써준다 ex) String,int 등등 JpaRepository.class ProtoMapObjuctTestEntity @Id primary key를 가지는 변수를 선언하는 것을 뜻한다. @GeneratedValue 어노테이션은 해당 Id 값을 어떻게 자동으로 생성할지 전략을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한 전략은 "AUTO"이다. @Table 별도의 이..

내가 쓰고 있는 인텔리제이 플로그인 목록 1. Indent Rainbow 이런식으로 들여쓰기를 할때 무지개색을 추가해서 보여준다. 2.Korean Language Pack 좋을수도 있고 나쁠수도 있는 언어팩이지만 일단 한글이 보기 편하기때문에 사용한다 단점은 경고나 에러를 검색할때 대부분이 영어라서 이부분은 불편했다. 대신 서버 로그는 영어 그대로 나와서 상관이없어서 난 쓰는 편이다. 3.Rainbow Brackets { } 를 각 각 짝에 맞는 색깔로 나타내준다. 대괄호가 항상 어디에 있는지 햇갈렸었는데 이걸 설치하고 보기가 한결 좋아졌다. 4.Nyan Progress Bar 특별한 기능은없다...그냥 고양이가 귀여워서 써보았다

REST API로 서버를 만들 때 보통의 경우에는 단일 쓰레드로, Request / Response 형태를 가지고 있지만, 요청에 대한 요구사항이 크거나 동일한 속성이 여러개를 띄고 있거나 빠른 응답이 필요하다면 고려해야되는 것중의 하나가 바로 멀티쓰레드 처리 이다 자바에서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Future라는 클래스가 있다! 무려 Jdk 1.5 버젼부터 있었던것.... 하지만 Future에는 get() 하기 위한 너무 복잡한 try - catch와 여러개의 Future List들을 처리할려면 정말 코드가 많다고한다..복잡하기도하고....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CompletableFuture ( Jdk 1.8 ) 이것이다 ! CompletableFuture 의 기능! (봐도 모르겠다....) 대표적으..

작업을 수행하는 두 주체 A, B가 있다고 가정하자. 동기 (sync) A가 작업을 끝내는 시간에 맞춰 B가 작업을 시작한다. 다른 말로 하면, B는 A가 수행한 작업의 결과(리턴 값)에 관심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비동기 (async) A가 작업을 끝내든 말든 상관 없이, B가 자신의 작업을 시작한다. B는 A가 수행한 작업의 결과에 관심이 없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https://brunch.co.kr/@springboot/401 Spring Boot @Async 어떻게 동작하는가? 스프링부트 환경에서, @Async 어노테이션 사용해서 비동기 메서드 구현 | 이 글에서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제공하는 @Aysnc 비동기 메서드 사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글을 읽기 위해서 brunch.co...